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7. 7世 〉7. <부정공>통훈대부정읍현감공묘갈명(通訓大夫井邑縣監公墓碣銘)
1. 문헌 목록 〉7. 7世 〉9. <부정공>지곤배영인남원양씨비명((智崑配令人南原梁氏碑銘)
1. 문헌 목록 > 7. 7世 >  
8.<부정공>통훈대부정읍현감공가상(通訓大夫井邑縣監公家狀)
通訓大夫井邑縣監公家狀 府君諱智崑姓趙氏淳昌世家初祖諱璋高麗門下侍中生諱洪珪版圖判書寔五代祖高祖諱佺大匡輔國光祿大夫玉川府院君曾祖諱元吉號農隱與圃牧陶冶時有五隱之稱官典工判書玉川府院君諡忠獻享武夷院勉庵先生撰神道碑銘大父諱瑜號虔谷事親盡孝事君盡禮行通喪之制守罔僕之義即杜門洞七十二賢之一也 世宗朝表宅 肅宗朝建祠渼湖金文敬公淵齋宋文忠公後先撰墓文生諱斯文司正贈儀度孝友忠直廉公勤儉是雅惟而濟之以文學望實俱隆 成宗癸巳始筮仕補宣敎郎俄遷司憲府監察階通訓實心奉公處事得情僚屬動色當時秉銓者欲薦獎崇秩府君固拒曰親老在堂欲爲祿仕則辭尊居卑辭内居外實心所願且材德不充安敢躁進乎盖府君懲 於叔父節愍公父子同丙子六臣之禍不欲驟陞故也乞養爲井邑縣監其爲治盖以興學養士爲先務乃敦脩庠宮廣置書籍示邑子以爲學之方至於繕葺廨宇如碧樹樓納凉房無不新之而令民不甚煩力大糜財而各有所便宜成就之道故時孫承宣比長休官鄉居爲文以記之於是吏畏其明民懷其德菀然有古昔循良之風焉及去鄉人立石而頌其遺愛自朝家亦擧其治績於輿地勝覽矣府君早見乎知止自高德之義解紋歸鄉僚友皆歎其勇退之難及也家居事親色養極孝愼終追遠誠禮備至府君凡四昆季伯諱智山僉樞仲即府君叔諱智崙察訪季諱智崗 贈參判友愛甚篤自幼至長衣傳服食同案學連業遊共方溫公之奉保椿津之恭謙無所不至築一亭於謙川上扁以相好幃幔隔障寝食笑談長枕大衾埍唱箎和盡其天倫之樂相好之名豈無所本而然哉故後來諸賢若洪尚書樂命奇先生正鎭極其揄揚者是已 成化癸卯丁淑夫人憂三日三月暮三年一遵禮制而哀戚過之 弘治乙卯十月十三日考終于正寝壽六十六墓南原府水旨坊馬淵村後坐壬原配令人南原梁氏參判敬走女 宣德庚戌生自幼淑美夙講内則及笄而貴婦道甚備宗族稱之 成化丙申十二月十九日卒于京城好賢坊私第享年四十七墓雙塋有表石生二男一女長曰穆郡守次曰和司直女金召奭生員第三男曰稹長房一男善種宣敎郎七女柳孟權河自壽金琛梁壽長李敷宋廷彦李纘次房三男蓋臣承義副尉純臣參奉介臣司憲府監察五女梁應茂忠順衛柳昌祖忠義衛晋碩佐金黙柳浚忠義衛稹一男善弼居松都善種無育藎臣二男貞老德老並參奉純臣一男期老參奉介臣二男大承縣監大胤早歿其後奉事公珏進士公儻以忠錄勳以孝著名以文學見稱皆府君貽謨所及嗚呼府君孝於父母友於兄弟其成於家者如此則其施於國者可推矣而栢臺卑資芻牧小官非惟不稱其德襟懷冲淡早謝榮塗孝謹焉承先業詩禮焉訓兒孫琴書樂志林泉潔身以沒其世故其事行雖不能爀爀照人惟相好之亭亭亭特立不爲兵燹所㤼風雨所廢迄今四百有餘載聞其風者尚能興起其孝友之良心此可謂稗補於世敎也歟惜乎府君之嘉言善行非獨爲傳家之彝訓亦將爲範俗之柯則但文獻殘缺響沉影沒愈久愈甚數百載之下昧余小子將何以述焉謹據家傳所聞又參以亭中遺蹟摭其萬一如玆使立言君子有所 以采擇焉則幸矣 時永曆五甲寅季春下浣 後孫 炳寬 謹狀 통훈대부정읍현감공가장(通訓大夫井邑縣監公家狀) 부군의 휘는 지곤(智崑)이용, 성은 조씨이며 순창세가(淳昌世家)로 건곡선생(虔谷先生)의 손자이고, 참의공(參議公)의 차자이며 비는 숙부인(淑夫人) 청산정씨(靑山鄭氏)로 참군상주(參軍尚周)의 따님이다. 선덕(宣德) 경술년(一四三○)에 태어났는데 부군이 나면서부터 기질이 아름다와 어려서 어른의 의표(儀表)가 있고 효우충직염공근검(孝友忠直廉公勤儉)의 성품이 바르고 문학(文學)으로 세상을 제도하니 인망과 실상이 함께 높았다. 성종(成宗) 계사년(一四七三)에 비로소 벼슬길에 올라 선교랑(宣敎郎)에 보직되었다가 사헌부 감찰로 품계가 통훈대부에 이르러 충직하게 근무하고 일을 공정하게 처결하니 요속들이 감탄하였다. 당시 인사권을 잡은 자가 높은 품계로 천거하고자 하니 부군이 굳이 거절하면서 「어버이가 늙어 집에 계시니, 녹사(祿仕)를 하고자 한즉 낮은 직책과 외직(外職)이 내가 원한 바이요, 또 재주와 덕이 충분하지 못하니 어찌 감히 월등하여 진급하겠는가」 하였다. 이는 아마도 부군이 숙부 절민공 부자의 병자년 육신의 참화에 연주(連誅)됨을 징계하고 삼가하여 급히 진취하고자 아니함이었을 것이다. 부모 봉양을 하겠다고 정읍 현감이 되어 가서 학궁을 일으켜 선비를 기르고 서적을 많이 비치하여 고을 자제에게 학문하는 방법을 보이며 관청을 수리하며 벽수루(碧樹樓), 납량바. (納凉房) 등을 새롭게 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백성의 큰 힘과 많은 재물을 허비하지 않고, 각기 편리한 대로 성취하게 하니, 그때 승선 손비장(承宣孫比長)이 휴직(休職)하고 고향에 돌아와서 글을 지어 이를 기록하였다. 이로부터 아전은 그 명철함을 두려워하고 백성은 그 덕을 생각하니 완연히 옛적 훌륭한 수령들의 기풍이 있는 듯 했다. 사직하고 돌아가니 고을 사람들이 비를 세워 그 끼친 사랑을 칭송하고 나라에서 또 그 치적을 「여지승람(輿地勝覽)」에 실어 거양(擧揚)하였다. 부군이 일찍 물러날 줄을 아는 것이 높은 덕이라는 뜻을 알고 사직하고는 고향으로 돌아가니, 관료들이 모두 그와 같은 용퇴(勇退)에 따라기 어려움을 탄복하였다. 집에 있으면서 어버이를 지극한 효도로 섬기고 신종추원(愼終追遠)에 지성과 예절을 다 하였으며 백씨(伯氏) 숙씨(叔氏) 계씨(季氏) 네 형제와 더불어 우애가 두터워 의복을 같이 입고 음식을 함께 먹으며 학업을 이어 계속하고 방소를 같이 하여 노닐며 온공(溫公)의 봉보(奉保)와 춘진(春津)의 공겸(恭謙)이 이르지 않은 바가 없고 정자를 겸천 위에 건축하고는 상호(相好)라 현판하고 침식을 같이 하며 긴 베개와 큰 이불에 흙 장구를 치고 피리로 화답하여 그 천륜의 즐거움을 다하니, 상호의 이름이 어찌 근거한 바가 없이 그렇게 하였겠는가! 뒤에 상서(尚書) 홍낙명(洪樂命)과 기정진(奇正鎭) 선생같은 현인(賢人)이 극히 찬양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기타사행(其他事行)은 묘갈에 자세히 시달렸으므로 거듭 싣지 않는다. 아! 부군이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며 집안에 교훈을 이룬 것이 이와 같았으니, 나라에 충성한 것을 가히 미루어 알겠다. 사헌부(司憲府)의 낮은 보수와 현령 등 미관말직이 공의 덕에는 차지 않으나 심지가 담백하여 일찍이 영귀를 사절하고 효도와 공경으로 선업을 이으며 시와 예로써 아들과 손자를 가르쳤으며 거문고와 글로 뜻을 즐겁게 하고 임천(林泉)에서 몸을 깨끗하게 간직하여 세상을 마쳤기 때문에 비록 사행(事行)이 사람들의 이목에 혁혁하게 비추지는 않으나 상호정이 우뚝하게 서서 병화에 파괴되지 않고 풍우에도 무너지지 않아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四백여년 동안 그 풍성을 들은 자 오히려 그 효도와 우애할 마음을 일으키니 이로써 세상을 교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겠다. 아깝도다. 부군의 아름다운 말씀과 착한 행실은 홀로 집안에 전할 떳떳한 될 뿐만 아니라 또한 장차 풍속을 바로잡을 법칙이 된다 하겠으나 다만 문헌이 전하지 않고 소리가 잠기고 그림자가 꺼져 오래 갈수록 더욱 심하니 수백 년 뒤에 우매한 소자가 장차 어찌 기술하리오. 삼가 집안에서 전하여 들은 바에 의거하고 또 정중에 남은 행적을 참고로 하여 그 만분의 일을 이와 같이 주워 모으니 입언 군자로 하여금 채택하게 한다면 다행이겠다. 후손(後孫) 병관(炳寬) 삼가 씀
 
1. 문헌 목록 〉7. 7世 〉7. <부정공>통훈대부정읍현감공묘갈명(通訓大夫井邑縣監公墓碣銘)
1. 문헌 목록 〉7. 7世 〉9. <부정공>지곤배영인남원양씨비명((智崑配令人南原梁氏碑銘)